심층리포트

컨슈머 리포트

컨슈머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국내여행보다 저렴한 해외여행! 나도 한 번 가볼까!
116
2018-05-30

국내여행보다 저렴한 해외여행! 나도 한 번 가볼까!

해외여행 트렌드

최근 저가항공 및 패키지 여행 등의 성장세로 해외 여행객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2017년 우리 국민의 총 여권 발급량은 사상 최대치인 523만권을 기록하였고, 이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수치이다.
본고에서는 해외여행 경험(2017년 1월~9월 사이)이 있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국관광공사의 ‘2017년 아웃바운드 현황 및 트렌드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여행 실태와 해외여행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7년 해외여행 총 횟수는 평균 2.6회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2013년(1.2회) 대비 2배 이상 증가된 수치이다. 10명 중 9명은 2018년에 해외여행 계획이 있다는 응답해 국내 여행자들의 해외여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국내여행 선호는 10명 중 1명에 그쳤으나, 해외여행을 선호하는 사람은 10명 중 6명으로 다수가 해외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그렇다면 해외 여행을 더 선호하는 이유 그리고 해외여행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림 1: 해외여행 트렌드
해외 여행도 가성비 시대

해외 여행 경험자들에게 해외여행지 선택 이유(업무 및 가족/친지 방문 제외)를 3순위까지 질문한 결과 ‘저렴한 경비’가 19.0%로 가장 높았으며(1순위 기준), 3순위까지의 전체 응답 기준으로도 50.6%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전년 대비 10%p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앞서 10명 중 6명이 해외여행을 국내여행보다 더 선호한다고 하였는데, 이들이 해외여행을 더 선호하는 이유로는 ‘국내여행 비용과 큰 차이가 없어서 또는 국내여행 비용보다 저렴해서’가 29.4%로 가장 높았다(1순위 기준).
‘저렴한 비용’이 해외여행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즉, 해외여행 소비에 있어서도 ‘가성비’를 중요시하는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다.

그림 2: 2017년 해외여행 방문지 선택 이유그림 3: 해외여행 선호 이유
국내여행 보다 저렴한 해외여행?!

그렇다면 해외여행자들은 어떻게 여행비용을 줄이고 있는 걸까?
2017년 해외여행 경험자 10명 중 6명은 최근 1년 내 저가항공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연령대와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저가항공 이용 경험률이 높았다. 특히, 20~30대의 젊은 연령층의 해외여행 증가에 ‘저가 항공’의 영향 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거 경제력이 높은 고 연령층의 전유물과 같았던 해외여행이 젊은 층으로 확산되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저가항공의 상승세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약한 20~30대들도 큰 부담 없이 해외여행을 경험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로 해석된다.

그림 4: 저가항공 이용 현황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서는?

요즘, 여행이야기를 할 때면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싸게 느껴진다’라는 말을 많이 들을 수 있다. 국내여행 경비가 해외여행 비용 대비 가심비가 떨어질 뿐 아니라 객관적인 비용에서도 더 든다는 생각을 가진 여행객들이 많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 된지 오래다. 여행 경상수지가 매년마다 적자폭을 늘리고 있다는 뉴스 기사가 새롭지도 않는 것이 한국 관광 산업의 현실인 것 같다.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여행 경비를 비용 차원이 아닌 가성비를 넘어 가심비(價心費)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정책적인 고민이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심도 있게 필요하며, 여행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상품 개발 못지 않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끔씩 국내 여행을 하다 보면 너무 좋은 관광자원이 숨겨져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원석인 자원이 보석이 되기 위해서는 가공하고 다듬는 정책적인 노력과 마케팅적인 노력이 지역, 국가와 연계되어 발전되어야 한다. 국민은 준비되어 있는데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 관광서비스는 어디에 있는 것인가?

Top
INFOCENTER_TRENDREPORT_VIEW
컨슈머 리포트
컨슈머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https://www.hrc.co.kr
https://www.hrc.co.kr/InfoCenter/TrendReport_View.aspx?boardkey=issue1129&listpageno=1&listsearchtext=
/InfoCenter/TrendReport_View.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