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리포트

컨슈머 리포트

컨슈머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학습하지 않는 사회 속, 공부하는 한국인
118
2018-09-11

학습하지 않는 사회 속, 공부하는 한국인

학습하지 않는 사회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공부하라며 잔소리를 하며, 공부의 중요성을 이야기 한다. 또, 평생학습이라는 말이 떠돌며, 학생 신분을 벗어난 이후에도 계속해서 배우고, 공부하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TGI 조사 결과, 정기적으로 수업료를 지불하며 학습하고 있는 성인(학생 제외)은 전체 성인의 약 3.5%밖에 되지 않는다. 만 19세 이상 학생을 포함하더라도, 그 비율은 약 4.6%에 그친다. 또한, 우리나라 성인들은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매우 무관심해지고 있다. TGI 조사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2009년 이후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질문에 대해 동의하는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즉, 우리나라 성인들의 배움에 대한 욕망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TGI데이터를 통해 성인 학습자의 학습 행태를 살펴보고, 이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비 학습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비교하며, 학습에 대한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 보고자 한다.

그림 1: 정기적으로 수업료를 지불하며 학습을 한 성인의 비율, 그림 2 :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대한 성인의 인식 변화
성인 학습자의 학습 이유

성인 학습자들의 주된 학습 이유는 ‘(업무 외)자기계발을 위해(54.1%)’ >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해(19.0%)’ > ‘업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12.9%)’ > ‘승진 및 이직 준비 (8.9%)’ > ‘기타(5.0%)’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 성인학습자의 73.1%에 달하는 응답자가 ‘자기계발 및 취미 생활’을 위해 꾸준히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1.8%가 ‘업무 및 커리어’를 위해 학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성인 학습자들은 대부분 자기 자신을 위해 또는 자신의 목표를 위해 학습하고 있었다.
한편 연령별로 살펴봐도, 20~40대는 ‘업무 및 커리어’를 위해 학습하는 비중이 20~30%대를 보이고 있지만, 대부분이 ‘자기계발 및 취미 생활’을 위해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성인 학습자의 학습 이유
성인 학습자의 학습 내용

공부하는 성인들의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영어, 중국어 등 어학(46.7%)’ > ‘자격 시험 준비(26.2%)’ > ‘예체능(1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봐도,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영어, 중국어 등 어학’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부하는 성인들은 ‘자기계발 및 취미 생활’의 일환으로 어학 공부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2: 성인 학습자의 학습 내용
자기 자신을 위해 노력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 사람들

성인의 대부분이 학습하지 않는 사회 속에서 자기 자신을 위해 또는 자신의 목표를 위해 꾸준히 학습하는 성인 학습자들은 아래 ‘그림 3’와 같이 비 학습자들에 비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처럼 성인 학습자들은 삶에 있어서 적극적인 삶을 살고 있었고, ‘사는 것이 행복하다’라는 물음에 대해 58.9%가 긍정적으로 답해, 49.5%가 긍정적으로 답한 비 학습자들보다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학습자와 비 학습자의 라이프 스타일 비교(각 문항에 대한 긍정응답 비율)
공부하는 한국인

공부하는 성인은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공부하는 성인은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고 싶어하고, 인생의 도전, 새로움, 변화 등을 추구한다. 이처럼 공부하는 사람은 삶에 있어서 도전적이고 진취적이며 변화하려는 의지를 가진 적극적인 삶을 살고 있다. 논어의 학이편에서 공자는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라고 하며 공부하는 즐거움에 대해 말하고 있다.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은 행복한 삶을 만드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말이 세상에 떠돈지 오래지만 한국사회의 방향은 학습과 멀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때, 우리가 스스로 행복해 지는 길과 멀어지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Top
INFOCENTER_TRENDREPORT_VIEW
컨슈머 리포트
컨슈머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https://www.hrc.co.kr
https://www.hrc.co.kr/InfoCenter/TrendReport_View.aspx?boardkey=issue1131&listpageno=1&listsearchtext=
/InfoCenter/TrendReport_View.aspx